또 우울한 책이군요. 책을 읽자고 생각했을 때 나는 우선 사두었던 책 혹은 재미있게 읽었던 책이 무엇이 있나 방안을 둘러보았습니다.
문득 이 책을 사서 안 읽었다는 것을 알고 읽게 되었습니다.
책의 내용은 조울병을 앓고 있던 사람이 의사가 되고 나서 조울병을 인정하게 되는 과정을 담은 책입니다.
그것이 병으로 인정하고 인정 함으로써 내가 달라지는 것들을 써 놓은 책입니다.
책 읽는 내내 울었습니다.
이전 연애를 하기 전에 읽고 내가 우울증이나 조울증을 인정했다면 이전 연애에서 그렇게 힘들게 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과 내가 내 병을 인정하게 되면서 엄청 울었습니다.
집에서, 버스에서 , 지하철에서 읽다 보면 자연스레 눈물이 났습니다.
책을 읽으면서 마음에 와 닿았던 글들을 적어 볼까 합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안부를 묻는 말에 나는 괜찮다고 대답했다.
더 힘을 내어 일했고 적극적으로 사람들과 어울렸다.
그러나 나는 정말 괜찮았던 걸까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요즘 나를 걱정 하는 사람들에게 억지로 웃으면서 괜찮다고 대답을 하고 다닌다.
난 병이 있을 뿐이지 병을 치료를 잘하고 있다고 괜찮다고 이야기했었다.
하지만 난 괜찮지 않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나는 평소와 똑같이 지내다가도 그런 식으로 갑작스럽게 분노를 폭발시키고 자기중심적으로 굴었다.
그때 나에게는 나 자신이 가장 중요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나도 그랬다. 이유 없이 분노했고 이유 없이 자기중심적으로 나만 생각했다.
남의 마음 따윈 중요하지 않았다.
적장 나를 가장 믿어주고 가장 사랑해주는 사람이었는데도.
그래서 너무 울었다. 이 부분에서 내가 너무 내 병을 키워서 그녀에게 상처를 준거에 대한 후회로
엄청 울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병에 걸린 것이 잘못이 아니다. 조울병에 취약한 유전자를 타고난 것은 내가 원한 것이 아니다. 부모가 원해서 물려준 것도 아니다.
그저 누군가는 큰 키 유전자를 물려받고 누군가는 작은 키 유전자를 물려받듯이, 누군가는 검은 머리로 누군가는 금발머리로 유전자를 태어나듯이 누군가는 기분 기복에 취약한 유전자를 물려받아 태어났을 뿐이다.
조울병의 발병에는 유전과 환경이 함께 작용하는데 , 자라온 환경 역시 내가 선택할 수 있었던 것은 일부분에 불과하다.
병에 걸린 것 자체는 환자의 잘못도 책임도 아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이 부분에서 내가 결혼을 하지 않기로 했던 나를 보았다.
내가 결혼을 하지 않은 이유는 내 자신이 너무 싫었다.
친아버지의 유전자가 내 몸안에 있고 나라는 사람은 우울증과 조울증을 가지고 있어서
누군가 나의 자식이 될 아이에게 너무 미안해서 결혼을 꿈꾸지 않았다.
이런 유전자는 더 이상 없어야 한다고 생각했다.
그래서 나는 결혼을 꿈꾸지 않았지만
그걸 바꿀만한 사람을 만났었다.
하지만 나는 정신병이라는 이름으로 상처만 주었다.
알고 있는 것과 인정함은 다른 거 같다.
그때 인정했다면 달랐을 텐데
헤어지기 전 여자 친구가 했었던 말이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.
지금은 괜찮아? 병원 가봐야 하는 거 아니야?
그때 여자 친구는 느꼈던 거 같다.
내가 힘들다는 것을 정신적으로 너무 힘들어한다는 것을
난 괜찮다고 대답하였다.
하지만 사실 지금 와서 하는 이야기 지만 나는 괜찮지 않았다.
괜찮은 척했다. 내 우울증의 최악의 시간들이었고
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옆에서 곤히 자는데 자살을 꿈꾸고 있었다.
내 딴에는 걱정 끼치기 싫어서 괜찮다고 했다.
책을 읽다 보니 이런 말이 있었다. 약을 자의로 인해 끊게 되면
더 큰 후 폭풍으로 우울증 또는 조울증으로 온다고
난 그때 나를 사랑해 주는 사람의 걱정을 믿었어야 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우울증이 오면 시야가 좁아지고 판단력도 흐려진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내가 그때 그랬다. 내 딴에는 좋은 선택 좋은 결말이라고 생각했지만
어릴 적 친아버지에게 버려진 트라우마로 기폭제가 되어서 판단력도 시야도 흐려졌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그렇게 막다른 곳에 몰리기까지 아무도 모르게 혼자서 얼마나 힘들었나요. 당신
누구보다도 자신에 대한 기준이 엄격한 당신
강해야 한다고 채찍질하지만 , 사실은 누구보다 여린 당신
다른 사람을 원망하기 전에 '나는 왜 이 모양일까' 자신을 탓하고 마는 착한 당신
나는 당신이 살았으면 좋겠습니다.
진심으로 당신이 살았으면 좋겠습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전부 내 이야기는 아니지만 다시 한번 살아야겠다고 생각이 든 글입니다.
죽고자 할 땐 세상이 그렇게 쉽게 느껴지던데 살려고 하니깐
너무 넘어야 할 산이 많네요.
사는 게 이렇게 힘든 거지만 저도 이 말을 해주고 싶습니다.
여러분이 힘든 거 여러분 탓이 아니에요.
남 탓도 가끔 해요.
그렇게 자신을 지키는 연습을 해보세요.
'문화가있는삶 > 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있는 그대로 참 소중한 너라서 - 김지훈 (0) | 2020.04.15 |
---|---|
언어의 온도 - 이기주 (0) | 2020.03.15 |
당신이 있어서 좋았어 - 오키타치에 (0) | 2020.03.09 |
동생이 안락사를 선택 했습니다 - 마르셀랑어데이크 (0) | 2020.03.02 |
일독일행 (0) | 2018.01.07 |